내일배움캠프/TIL

자바스크립트 복습, 알고리즘, 노드

91song4 2022. 12. 20. 02:03

TIL


JavaScript 복습

참조 사이트

  1.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Glossary/Hoisting
  2.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Statements/let#시간상_사각지대
  3. https://ko.javascript.info/intro
  4. https://ko.javascript.info/variables

호이스팅(참조 1)
let TDZ(참조 2)
모던 javascript 튜토리얼 (참조 3)
변수를 새로 만드는걸 두려워 하지 말자(참조 4)


알고리즘

깃 커밋

  1. https://github.com/91song4/3chong4/commit/7616e453a40b46982aae19812715ace419e881fe

// 문제 설명

// 덧셈, 뺄셈 수식들이 'X [연산자] Y = Z' 형태로 들어있는 문자열 배열 quiz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 수식이 옳다면 "O"를 틀리다면 "X"를 순서대로 담은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느낀점

간단하다고 생각했던 문제였는데 풀다보니시간이 너무너무 많이 걸렸다.
여태 느껴온 바로는 별 정리없이 생각나는대로 코드를 적다보니 실험도 해보고, 안되는것도 만나고,
이래저래 다른시간이 추가된다.

다음부터는 꼭! 코드작성부터 하지 말고, 한글로 문제를 분해정리해서 그대로 코드를 적어보자.


Node.js 숙련과정

참조 사이트

  1. https://mongoosejs.com/docs/promises.html
  2. https://nodejs.org/dist/latest-v18.x/docs/api/http.html#responsewriteheadstatuscode-statusmessage-headers
  3. https://expressjs.com/en/4x/api.html#res.cookie

짚고 넘어가기

Q. Node.js는 프로그래밍 언어다?
A. Node.js는 JavaScript를 브라우저 없이 단독으로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Q. npm(Node Package Manager)은 Node.js와 같은 프로그램이다!?
A. npm은 Node.js에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쉽게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패키지 관리자" 형식의 프로그램이다.

Q. express는 서버라고 불러도 된다?
A. express 라는 라이브러리는 여러분이 쉽게 서버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게 만들어진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이다.

mongoose.find.exec(참조 1)
new mongoose.model({column:value})
res.writeHead(참조 2)
res.cookie(참조 3)

느낀점

오늘은 구글링을 할 때에 개인이 쓴 블로그보단 공식문서를 들여다 보았다.
블로그에는 사견과, 풍부한 비유가 넘쳐난다.
비유는 마치 양날의 검 같다고 생각한다.
비유는 철썩같이 들어맞을 때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 다시 볼 땐 이게 맞나? 싶을때도 있다.
이해를 위해 새겨들었던 비유는 개념을 바로잡는 시간을 가지지 않으면 위험하다고도 느낀다.
요즘은 비유와 사견이 많이 들어있는 블로그는 지양하게 된다.

공식문서.
딱딱하고 재미없는 문서. 그렇지만 신뢰성이 높아서 오히려 좋다.
잘 읽을수만 있다면 공식문서를 보고싶지만 언어의 장벽이 너무나 높다.
개념을 자칫 잘못잡게되는 옳지않은 비유도 없었다.

주말에 여자친구한테 영어문법을 좀 배워봤는데.. 이런.. 
C, C++, JAVA, JS, PYTHON 등... 요런건 배울땐 재밌기도하고, 신기하기도하고, 배우는느낌이 났는데
영어는 그냥 .. 진입난이도가 너무 높다. 어릴때 .. 학생때 영어 좀 할 걸.. 후... 과거의 나 ... 후... 시발놈

어쨌거나 저쨌거나 공식문서를 조금씩 뒤적뒤적 해봤다.
영어로 되어있어서 번역기를 돌려서 읽었지만, 공식적으로 쓰여진 문서이다보니, 사견도 없고, 오히려 좋았다.
비록 대단한 코드를 짜기위해서 읽어본것도, 여러줄을 읽어본것도 아닌 1~2줄정도 읽는 수준이지만
그래도 이제는 공식문서를 찾아들어간것만해도 장족의 발전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