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배움캠프/TIL
nest.js jest auth.service.spec.ts 설정
91song4
2023. 4. 11. 14:03
프로젝트의 서비스코드 테스트코드를 작성을 해보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dXOfOgFFKuY&ab_channel=MariusEspejo
위 링크를 참조해서 셋팅을 진행해보았다.
- 기대하는 결과
- 테스트코드 작성할 수 있게 정상적으로 셋팅
- 실행 결과
- 에러 발생
- 에러 발생 이유
- https://junior-datalist.tistory.com/147 참조
- auth.service의 생성자에 주입된것들이 테스팅 모듈에서 사용할수 있게 주입해줘야 한다.
- 해결 과정
- 의존성을 주입해준다.
- CACHE_MANAGER를 주입하기 위해서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1030245/how-to-mock-jest-redis-in-nestjs 를 참조하였다.
- JwtService 주입
- smsService 주입
- 이후 smsService에서 주입된것들도 주입해야 한다.
- 의존성을 주입해준다.
- 알게된 점
- 테스트하려는 곳에서 의존성 주입을 하고있다면 테스트코드에서도 같이 의존성 주입을 해줘야한다.
- 궁금한 점
- 네스트를 접하게 되면서 항상 궁금했던 imports, providers .. 마지막 2개의 사진을 보면
imports, providers의 코드가 다르다. 도대체 어떻게 동작하길래 에러가 안나는지 궁금하다. - imports, providers가 뭔지.. 좀 더 제대로 머리속에 넣어놔야겠다.
- 네스트를 접하게 되면서 항상 궁금했던 imports, providers .. 마지막 2개의 사진을 보면